위 그래프는 역대 미국 기준금리와 장단기 국고채 수익률 비교차트입니다.

역대 모든 지표가 하향하는 과정이 몇차례 있었는데요. 2000년 후반에만 3번의 사이클이 있었습니다.

 

단순하게 금리 인하 시점만 나스닥과 비교를 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3 구간은 각각 50~75%의 급격한 하락 시기와 맞물립니다.

정리하자면,

1. 금리인하 > 주가상승

2. 주가상승 > 금리상승

3. 금리인하 > 주가하락

4. 금리인하 유지 > 주가상승

이런 패턴이 나옵니다.

 

아시다시피 금리인상은 인플레이션과 영향이 있습니다.

역대 미국의 인플레이션 지표에서 해당 구간을 찾아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980년까지 미국을 포함한 모든 나라들은 극심한 인플레이션에 직면해 있었습니다.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를 인상할 수 밖에 없었는데, 금리 인상후 물가가 안정화 되면서 90년대부터 금리 인하를 시작하게 되었고, 이후 10%대 이하로 떨어지게 되었습니다.

90년대 이후부터는 30년 동안 꾸준히 하락하여 0% 저금리의 시대를 살게 되었습니다. 저금리의 미국 주식과 전 세계 주식은 일대 호황기를 누립니다.

관심있게 봐야할 부분은 OECD 평균보다 항상 안정적이였던 미국의 CPI가 OECD 평균보다 높아지는 시점이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인플레이션을 잡아준 것은 리먼 브라더스 사태와 코로나 등의 급격한 경제 위기였습니다.

위 물가지수 표에서 3번의 인플레이션 상승과 하락에는 동일한 패턴이 있습니다.

재미있는 사이클을 보실 수 있는데
1. 인플레이션 및 주가 동반 상승
2. 금리상승
3. 금리 및 인플레이션, 주가 모두 하락

여기까지가 금리와 주가, 인플레이션의 관계입니다.

또, CPI의 선행지수인 PPI를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역대 미국의 생산자 물가 지수의 차트입니다. 엄청나군요. ㅎ
1~3구간의 특징은 PPI가 역대 최고점 위치라는 것이고, 이 PPI가 CPI를 끌어 올리는 주범이 됩니다.


종합해서 해석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CCI, PPI의 전고점 돌파 및 주가 상승 VS 기준 금리 하락 및 장단기 국고채 수익률 하락 (역주행)
2. CCI, PPI의 하락 및 주가 상승 둔화 또는 하락 VS 기준 금리 상승 및 장단기 국채 수익률 상승 (역주행, 장단기 역전)
3. CCI, PPI의 하락 및 주가 급락 VS 기준 금리 및 장단기 국채 수익율 하락 (동반하락)
4. CCI, PPI의 상승 및 주가 상승 VS 기준 금리 및 장단기 국채 수익율 유지 또는 하락율 둔화 (역주행)

이하 1~4 반복
금리를 기준으로 보면 이렇게 해석할 수 있겠네요.


1. 금리인하 > 주가상승 > 인플레이션 급상승, 전고점돌파 > PPI 우상향

2. 주가상승 > 금리상승 > 인플레이션 상승, 상승률 둔화 > PPI 급등

3. 금리인하 > 주가하락 > 인플레이션 하락, 저점 상승 > PPI 우하향, 하락

4. 금리인하 유지 > 주가상승 > 인플레이션 상승 > PPI 우상향

즉, 금리를 올리는 것은 역대 최고점의 PPI를 낮추기 위한 작업이고 이는 이제 막 시작하는 단계라는 것입니다.

앞서 살펴봤던 3개의 구간은 미국의 역사에서 몇 안되는 생산성 하락의 시기였습니다.

그리고 어김없이 직전에는 우상향으로 그리면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상황이였고, 이때 인플레이션 발생과 고금리 정책이 생산성  하락을 불러 오는 과정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최근 20년간의 미국 PPI를 보면 위의 사이클에서 어느 단계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최근 몇년간 서학운동이라는 미명으로 많은 개미 투자자들이 미장에 투자하고 계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금리가 오르면 주가가 떨어지고, 금리가 떨어지면 주가는 오릅니다.

다만 개미 투자자들이 잊기 쉬운 게, 금리가 떨어지는 과정입니다.
보통 금리인하 과정이 반년에서 1년 반 사이에 이루어지는데 이때 급격한 주가 하락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금리가 떨어진 다음에야 주가가 오르는 건 다 아실텐데..
금리가 떨어지는 과정에서의 주가 하락은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입니다.

금리가 떨어질 때는 그만한 이유가 있고, 어떤 식으로든 시장에 반영이 될 것입니다.
저는 그게 미장 급락의 반복이 되지 않을까 염려가 됩니다.

금리가 오르는 시점에서의 미장 투자가 역사적으로 리스크가 많다는 정도만이라도 인지하시고 투자하시면 어떨까 생각되네요.

어려운 시기에 투자에 성공하시기 바랍니다.

 

KDJ 지표 공식

k = 100*((close-lo)/(hi-lo))

종가 - 최저가 = 저점에서 현재가 혹은 종가의 변동폭, 0일때 종가는 저가와 같음

고가 - 저가 = 봉에서의 변동폭, 즉 유동성

즉 k는 봉의 변동성에서 현재 봉의 위치를 알려줌.

k의 값을 이동평균선으로 변경하고, 이걸 다시 D라는 이동평균값으로 변경함.

pK = ta.rma(k, signal)

pD = ta.rma(pK, signal)

pJ = 3 * pK - 2 * pD

j는 K, D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K의 흐름을 미리 예측함.

 

원래는 이런 KDJ 지표의 공식인데, 모든 지표가 그렇듯이 현재봉과 짧은 흐름으로 파악하다보면 사각지대가 발생합니다.

이때 OSMV 기법으로 보더 폭넓은 데이터이를 기반으로 하여 K, D의 VS값을 산정하고 이를 통해서 전체 변동폭에서의 추세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루블화의 일봉에서는 가격과 vs의 값이 다이버전스를 이루며 즉시 vs ma값이 50선을 돌파하고 전고점을 돌파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리비안 일봉의 경우 vs가 ma값을 골크하고 50선을 넘기기 위한 위치로 이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추세가 변경되기 위한 변동성 구간에서의 k값이 증가하는 것은 상승의 좋은 시그널이 될 수 있습니다.

 

삼립 일봉의 경우

전고점을 돌파하는 위치에서 vs의 50선 돌파가 자주 시도되며 ma값이 본격적으로 돌파하는 시점에서 전고점을 돌파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반대로 vs값이 ma 값이 이하로 떨어진후 돌파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하락 추세로 변경되는 과정을 동시에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일봉에서 적절한 종목을 찾습니다.

해당 종목은 VS가 골크 위치에 있으며, MACD 현재봉이 0선돌파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때 캔들의 하락 저항선과 일치하며, 이는 MACD 현재봉의 0선 돌파는 하락추세 저항선의 돌파의 의미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하락추세의 변화를 위한 강한 돌파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

10분봉에서는 VS 골크 상황에서 0선 부근에 도달해 있으며, 갭이 먼저 0선 위에 있으므로 하락 3파에 해당됩니다.

일봉에서 분석한 저항선 돌파의 마지막 부분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때 갭의 이평선 돌파 가능 위치를 매수 위치로 잡고 분할 매수를 진행하였습니다.

 

 

 

'수익 노하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MV MACD 지표 활용법  (0) 2025.04.20
MACD 상승패턴 수익 분석  (0) 2024.09.11
23년초 업비트 상승패턴 분석  (0) 2023.02.11
75% 수익성공  (0) 2022.03.16
수익 노하우 - 갭 0선위 골크  (0) 2022.03.08

루나 무빙 상장 폐지 무빙 차트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7GccYweLb1c

1분봉 최초 급락시점

 

1분봉 마지막날

 

1분봉 마지막날 2차

10분봉

 

1시간봉

 

4시간봉

 

8시간봉

 

12시간봉

 

일봉

 

주봉

하락 5파 패턴

 

1파를 리딩 다이고날로 올리고, 4조정파 어센딩 트라이앵글 패턴

개미지표 리치선 골크

■ 엘리어트 파동이론

철도회사 노동자였던 랄프 닐슨 엘리어트가 1938년 엘리어트 파동 이론을 발표함.

엘리어트 파동이론은 차트가 일정 패턴을 가지고 움직인다는 전제로 만든 개념. 임펄스(충격) 5파와 코렉트(조정) 3파로 구성되며 진폭은 통상적으로 피보나치 수열의 61.8% 또는 38.2%만큼 움직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그러나 충격5파와 조정3파의 완성 여부는 중간에서 실패할 수도 있기 때문에 100% 확신해서는 안됨.

이론적인 것은 모두 결과론에 임각한 것임.

 

또한 엘리엇 파동이론의 대표적인 예시들은 모두 사회적 광기에 편승한 종목들임.

즉 자연적인 현상이라기 보다는, 보다 인위적인 현상이라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함.

 

굳이 엘리엇 파동이 아니더라도, 차트라는 특성이 파동과 추세를 가지고 있음.

엘리엇 파동이 인기를 끄는 이유는, 맹목적인 차트의 흐름에서 보다 맥락을 찾을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해주기 때문임.

또한, 추세전환이 일어난 후의 차트 흐름에 대한 예측을 돕고, 예측에서 벗어난 상황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줌.

엘리엇 파동의 문제는 반드시 5파 상승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3파 하락만 나오는 것이 아니며, 그 이상의 상승과 하락이 나올 수 있는데 트레이너를 확증편향에 빠지게 할 여지가 있음.

엘리엇 파동 5파 3낙은 개뿔. 장기 하락추세에는 별 수 없음.

엘리엇 파동을 공부하는 이유는 차트도 안보고 주변에 휩쓸려서 매매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래도 엘리엇 파동이 유명해서 그나마 차트 보려는 사람이 생겨나고 이것저것 공부하면서 지표 공부도하는 좋은 유입점이 되기 때문이며, 그래도 모르는 것보다는 아는게 도움이 되기 때문임.

 

 

 

엘리엇 파동의 실전 차트로 가장 교과서적인 크루드 오일 1999~2008년 차트

 

■ 각 파동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음.

①번 파동의 특징
→ 바닥수준에서의 매입이 가능. 단, 파동의 길이도 짧고 힘이 약함
→ 하락추세에서의 작은 변동인지 또는 새로운 1파인지 예측과 인식이 어려움 
    (시작인지 다른파동의 연장인지 확인이 어려움)
→ 기술적 분석의 여러가지 보조지표(RSI, 스토캐스틱, 이격도 등)들이 과매도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파악해야 함 (대부분의 경우 다이버전스를 발현)

②번 파동의 특징
→ 적극적인 매입적기, 2번파동은 1번파동의 저점을 하향 이탈 할 수 없음 (즉, 손절기준점이 될 수 있음)
→ 1번파동의 상승분의 38.2% 또는 61.8%를 되돌리는 것이 일반적
→ 손절기준점 저점을 아주 약간 더 이탈 할 경우 반등보고 탈출(조금씩 빠질때) 또는 이탈 순간 손절 후 다음에 비슷한 금액으로 양봉확정 시기에 재진입이 원칙

③번 파동의 특징
→ 본격 상승기, 주가가 강하게 상승하며 거래량의 증가를 동반
→ 기다리던 조정은 잘 오지 않으며 대세 상승의 대부분이 3파에 의해 결정
→ 3번파동은 통상적으로 1번파동의 1.618(1.5배)정도로 주로 형성되며 2.618배로 커지는 경우 (파동의 연장)도 있다.

​④번 파동의 특징
→ 5파 상승을 위한 매입고려 지점
→ 주로 3번파동의 38.2% 정도를 되돌림
→ 3번 파동의 작은 4파의 저점과 겹치는 경향이 있다. 
    (3번파동의 중간부분과 4번파동의 저점이 동일선상이라는 뜻)
→ 4파의 저점이 1파의 고점보다 위에서 반등이 나와야 함.
    (단, 다이고날 패턴에서는 가능함)

⑤번 파동의 특징
→ 3번 파동에 비해 길이가 비교적 짧고 움직임도 덜 활발함
→ 순간적인 거래량은 3번파동은 대체로 상회함
→ 삼각쐐기형 패턴이 5파에서 잘 나옴

 

■ 각 파의 진행을 파악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

 앞서 기술한 파동의 특징은 고점과 저점의 특징을 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실전에서 해당 각 포인트를 찾는 것이 쉽지 않음.

각 파가 한번에 보기 좋게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작은 파동을 이루며 형성되기 때문에 실제로 파동을 구분하기가 쉽지 않음.

따라서 각 파가 형성될 때의 모양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부적인 패턴을 익혀두어야 함. (트라이앵글, 트리플 콤보, 다블 콤보, 다이고날)

 

■ 파를 형성하는 패턴

 트라이앵글 (수렴)

 

디센트 트라이 앵글 패턴의 대표적인 예시, 트라이앵글 구간을 하나의 패턴으로 계산함.

트라이앵글의 패턴을 5파로 따로 계산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굳이 집착할 필요는 없음.

 

어센딩 트라이앵글 패턴의 1파 연결 예시

 

어센딩, 디센딩 트라이앵글 연속 패턴의 대표적인 예시, 4파의 조정기에 어센딩 패턴이 나옴

 

시메트릭 트라이앵글 (삼각수렴)

큰 변동전에 일어나는 패턴. 고점은 점점 낮아지고, 저점은 점점 높아지며 수렴에 가까워짐. 이또한 거래량은 점점 줄어들며 수렴할 무렵 혹은 수렴 전에 상승 혹은 하락이 일어남.

예시는 루나코인으로 -100% 하락이 일어남.

각 파의 조정기에서의 패턴 예제

 

주의할 점

각 패턴에서 100% 확률로 상승과 하락이 결정되는 것은 아니고, 확률이 높아진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손절이나 진입 시점을 바로바로 체크해야 함.

 

다이고날 (엔딩, 리딩)

엔딩 다이고날의 가장 큰 특징은 4파의 저점이 1파의 고점을 터치함.

추세 5파 마지막 엔딩에서 나오기 때문에 엔딩 다이고날 패턴이라고 하며, 이를 마지막 5파로 계산함.

5파로 이루어져있으며, 각 파는 상승3-하락3-상승3-하락3-상승3의 작은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음.

 

리딩 다이고날 패턴

추세가 전환되는 시점에서 패턴이 나오기 때문에 리딩 다이고날이라고 부름.

작은 5파가 1파로 계산됨

이 작은 5파는 상승 5파>하락 3파>상승5파>하락3파>상승5파로 구성

이때 4파 저점이 1파 고점을 터치함

참고로 5-3-5-3-5 패턴을 굳이 찾으려고 하지 않아도 됨.

리딩 다이고날은 추세전환의 시작에서 나오기 때문에 하락의 변동성 구간과 맞닿아 있으므로 파동을 세밀하게 다 계산할 수가 없음. 따라서 2파의 반등구간이 자연스럽게 트라이앵글과 연결됨.

위의 차트를 전저점과 연결해서 보면 아래와 같음.

 

복합 조정 패턴 (더블 콤보, 트리플 콤보, 2중 3중 3파)

조정파에서 2개나 3개의 단순한 패턴이 연결되어서 복잡해지는 경우에 나타남.

단순히 플랫형의 반복일 수도 있고, 플랫과 삼각형, 플랫과 지그재그형 등 다양한 조합이 있을 수 있는데 이걸 계산하느라 머리털 다 빠지기 쉬움. 그냥 이런게 있나보다하고 넘어가면 됨.

 

핵심은 복합패턴은 조정파에서 나온다는 것에 있음.

조정파는 추세와 반대로 가는 것이 특징임.

즉, 현재의 추세를 기준으로 파를 계산 한 후 조정시 나오는 파동은 모두 반대로 계산하면 됨

이때 추세는 상승, 하락의 둘중 하나이기 때문에 횡보 및 반대방향으로의 고점과 저점의 이동은 모두 조정파로 계산하면 편함.

만일, 상승하는 추세에서 상승파가 아닌 건 모두 조정파와 복합패턴으로 계산함.

이때 함정이 있는데, 엘리엇 파동 이론에서는 조정파가 복합으로 2중, 3중으로 나오기 때문에 조정기간도 같이 길어지게됨. 따라서 조정기간 횡보및 하락의 조정기를 2~3배 끔직하게 경험하게 되기 때문에 어설프게 계산하고 들어가면 큰 손실이 일어남. 그리고 하락의 조정기가 길어지고 하락도 크게 나오기 때문에 1파나 3파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올 확률이 큼.

 

정리하면 아래와 같음.

1파, 3파중 큰 상승이 나오면 복합 패턴 조정기가 올 확률이 높아짐

복합 패턴을 다 찾으려고 계산하면 머리털만 빠지게 됨.

어설프게 계산하고 들어가면 큰 조정기와 하락 손실을 경험함.

조정기 안에서 소파 a,b,c를 계산하는 것이 더 빠름.

 

엘리엇 파동을 공부하면 교과서적으로 나오는 차트가 크루드오닐 1999년과 2008년간의 차트입니다.

10년간의 상승을 통해 광기와 열광의 사회적 분위기가 함께 작동되어야만 가능한 차트입니다.

이런 광기는 자신이 광기에 휩싸였다는 걸 모르도록 사회전반적인 분위기를 압도하면서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문제는 이렇게 캔들차트로만 엘리엇 파동을 계산하다보니 기술적 분석이 너무 후차적인 분석으로 끝나게 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개미차트로 이런 광기를 분석해 낼 수 있을지 체크해보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