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리플 리또속 사건을 통해서 보는 기술적 분석 연구자료임.

해당자료는 리플 하락직전에 작성된 것이며, 하락 예측자료였음을 밝힘.

 

1. 스토케스틱 RSI 분석

캔들 차트상에서 5연상 차트를 기록

하지만, 스토케스틱 RSI에서 현재봉이 중간계수를 돌파한 후, 고점에서 히스토그램이 꺽인 현상이 발생함.

즉, 가격과 반대로 히스토그램이 먼저 하락 시그널을 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스토케스틱 RSI 히스토그램 선행

 

2. 도미넌스 변동성

이번 리플 상승에서 도미넌스 변동성이 30%를 육박함. 

비중이 1%에서 3%까지 치솟음.

 

하지막 익일 다시 1.6%로 회귀.

 

 

3. 캔들상 전고점 부근

이번 리플이 급등한 위치는 11월 24일 전고점 부근임.

한번의 숏팅으로 전고점을 바로 뚫는 경우는 거의 없음.

따라서 해당 위치에서의 폭락을 예상함.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옴.

1번의 위치는 12월 20일경의 전고점 부근이고, 2번의 위치는 11월 24일경의 전고점 부근임.

현재 눌림목 위치는 1번 전고점 위치에 안착함.

따라서 1번 전고점 위치가 2번 지지선이 된 상황임.

 

4. 도미넌스 차트에서의 망점 똥고 발생.

망점 똥꼬란? 캔들 차트상 급격한 상승에 비해, 스토케스틱 히스토그램은 0선 돌파를 강하게 하지 못함.

이는 0선 이하에서의 하락 추세를 꺽기위한 매집봉일 가능성이 높고, 망점 똥꼬를 축으로 다시 하락 히스토그램이 만들어짐.

 

결과는 아래 스샷처럼 망점 똥꼬가 사라지고 0선 이하 고점 추세선 하락으로 봉이 마감됨.

이를 통해서 알 수 있는 사실.

현재봉의 망점 똥꼬는 매도 위치임. 지난 백테스트로는 이런 봉마감 전후의 상황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분석도 되지 않고 이런 사실도 알지 못함.

존재 사실을 모르기 때문에 눈뜨고 당하는 현실임.

망점 똥꼬를 조심.

 

5. 캔들상 다이버전스

가격과 지표가 달라지는 현상이 다이버전스임.

특히 가격은 올라가고 지표는 하락하는 상승실패 다이버전스는 대부분 폭등후 최고점 상황에서 발생함.

 

 

결과

상승실패 다이버전스 이후 추세가 변함.

이런 다이버전스는 절대적으로 매매의 기본에 속하기 때문에 반드시 숙지해야함.

 

6. 스토케스틱 RSI 고점 하락 돌파 

 

스토케스틱 RSI는 히스토그램만 보는 게 아니라 스그널 선의 위치와 방향도 중요함.

 

171%의 가격이 상승하면서 스토케스틱 시그널선은 한번도 하락 돌파를 하지 않았음.

하지만 4시간봉에서 확인해보면, 현재봉과 커스텀봉이 조우하여 어떤 형태로든 현재봉이 하락돌파할 가능성이 높아짐.

 

결과

역시 현재봉이 커스텀과 중간계수 모두를 하락 돌파하면서 차트가 폭락함.

 

7. MACD 실시간 분석

OSMV MACD 지표를 가지고 실시간 분석하는 과정임.

여기에서도 역시 망점 똥꼬가 발생함.

youtu.be/TpVgburemP4?t=1742

위 분석에 대한 실시간 내용 아카이브는 개미야놀자! 프랜즈방에 아카이브되어있음.

 

사용된 지표

kr.tradingview.com/script/6GOOWDtA/

 

One Shot Multiview Stochastic RSI by letsplayants — letsplayants 의 인디케이터

One Shot Multiview Stochastic RSI is a reorganization of the Stochastic RSI to help identify fragmentation at a glanc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flow of the stock price change in advance by differentiating into the signal line and the region. Please con

kr.tradingview.com

kr.tradingview.com/script/ivbHaANJ/

 

One Shot Multiview RSI by letsplayants — letsplayants 의 인디케이터

OSMV RSI는 해당 종목의 RSI를 각각 10가지 패턴으로 분석하여 보여주는 방식으로, RSI 추세에 근거한 매매 방식을 제안한다. 초록색 시작구간에서 매수, 끝나는 구간에서 매도하는 방식이며 지표의

kr.tradingview.com

kr.tradingview.com/script/TDLUXJ1E/

 

One Shot Multiview by Letsplayants — letsplayants 의 인디케이터

스크립트 안내 1. 해당 지표는 해당 종목의 1시간봉, 4시간봉, 일봉의 MACD에 근거한 추세 변화를 동시에 보여준다. 2. 일봉의 추세에 근거하여 각 작은 시간봉의 추세를 참고하면서 매매의 지표로

kr.tradingview.com

 

 

 

 

트레이딩뷰에서 워치리스트를 만들어서 관리하다보면, 트레이딩뷰의 다양한 차트 종류를 인터페이스 표기가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도미넌스 차트의 경우 워치리스트의 인터페이스에서는 현재가라고 표기된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표기이며, 이에 따라 자칫 정확한 정보가 아닌 잘못된 정보로 인식하여 오판을 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도미넌스 차트는 현재가를 표기하는 것이 아니다.

도미넌스 종목 워치리스트

 

도미넌스란 일종의 마켓 파이를 의미한다.

어느 마켓에 존재하는 종목들의 파이값을 도미넌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비중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고, 종목 강세라고 해석할 수도 있으나 이는 해석의 분야이다.

 

이를 쉽게 이해하려면 아래 스샷을 보자.

모든 종목을 비교하여 계산했을 때, 100%가 나온다.

즉, 현재가가 아니라 100%안에서의 비중, 파이값이다.

모든 값을 더하면 100%임

 

 

 

이번 비트코인 반등에 대해서 분석하다 보니 USDT 마켓에 있는 종목에서 유난히 눈에 띄는 종목이 있었다.

바로 바이낸스 토큰인 BNB였다.

차트를 먼저보자.

표시된 위치는 17일 저녁 11시 상황이다.

이 위치는 RSI가 50선을 돌파하는지, 스토케스틱이 중간계수를 돌파하는지가 중요한 순간이였다.

여기에서 밀리면 하락이 장기화되면서 변동성도 커지는 구간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같은 시각 BNB 차트가 먼저 움직이기 시작한다.

RSI 50선을 돌파하면서 급등차트가 나온 것이다.

이후 모든 USDT 마켓의 종목들이 50선 돌파 및 하락반등을 이루어냈다.

 

아래는 8시간 후 비트코인의 차트 결과이다.

6%의 상승, 주요 지표 중간계수 돌파 성공의 결과이다.

 

결론

BNB가 USDT 마켓의 선행지표가 될 수 있을까?

그건 확실하지 않다. 단순히 일회적인 현상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USDT 마켓에서 중요한 변곡점을 가르는 순간에 한번쯤은 참고할만한 사항은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

비트코인도 USDT 마켓의 한 종목일 뿐이다.

osmv macd에서 고스트 현상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다.

처음 아이디어는 각 해상도에서의 변동성을 확인하는 차원에서 시작되었는데, 의외의 결과가 나왔다.

 

비트코인에서의 고스트 현상을 찾아보니 역시 해당 내용이 적용됨을 알 수 있었다.

 

비트코인 일봉

20년 12월에 노랑색 빅선이 고스트되었다.

이후 21년 1월 중순까지 고스트가 유지되면서 상승을 하는 것.

 

이는 2일봉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비트코인 2일봉

2일봉에서도 커스텀봉이 고스트되면서 현재봉 상승과 가격의 급등이 이어졌다.

 

향후 해당 기능에 대한 얼럿을 추가하여 매 종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앞서 macd 지표의 고스트현상에 대한 분석을 이야기했었다.

 

1시간봉에서 REPKRW 차트가 MACD Big2 시그널에서 고스트 현상이 발생했다.

다음과 같다.

 

현 글을 쓰는 시점에서, 큰 봉에서의 macd 시그널이 고스트되었고 이후 꾸준히 저점이 올라가는 형태로 우상향 횡보를 하고 있다.

 

고스트가 발생한 시점의 위치를 추세선의 고점으로 보고, 현재 저점의 추세라인을 복사하여 고점추세라인으로 설정해 보았다.

앞으로 결과 어떻게 나올지 지켜보면 재미있을 것 같다.

 

결과

2틀이 지난 18일 결과가 나왔다.

16일 고스트 현상에 대해서 포스팅한 후 2틀간의 무빙이다.

결과적으로 18%의 상승이 있었다. ^^

웬지 예감이 좋다. ㅎㅎ

바이낸스의 dot 종목을 보면, macd 커스텀 라인이 직선으로 표기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커스텀의 신호보다 현재봉의 신호의 이격이 커짐으로 변동성이 극대화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그 변동성이 해소될 때 위와 같이 직선으로 없어졌던 선이 만들어진다.

 

앞으로 이런 현상을 고스트 현상이라고 부르겠다.

 

이는 osmv 지표의 변동성 예측을 위한 코드 수정에서 특이점으로 나타났는데, 자세히 살펴보니 상승과 하락을 보여주는 재미있는 결과물이였다.

 

위와 같이 변동성이 마감되는 시점에서 직선으로 선이 나타난 후 몇시간이 지난 다음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리플레이 영상으로 참고하세요. 클릭해서 보세요.

 

이걸 잘 활용한다면.

커스텀봉이 고스트 되면, 매수

커스텀봉이 고스트 해제되어 직선이 나오면, 매도

+ Recent posts